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1)
[ 고려 시대 ] 정중부(鄭仲夫)의 수염과 무신정변(武臣政變) 정중부의 수염을 태운 일화는 고려 시대의 중요한 역사적 사건 중 하나로당시의 사회적, 정치적 배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 사건은 무신정권이 수립되는 계기가 되었으며고려 시대의 권력 구조와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고려 시대 배경   고려 시대는 918년에 건국되어1392년 조선이 건국될 때까지 이어졌습니다  초기 고려는 왕권이 강했으나시간이 지남에 따라 귀족 세력과 관료들의권력이 강화되었습니다  12세기 중반, 문벌귀족들이 권력을 장악하며국정을 주도하게 되면서 무신들은 점차 소외되고 불만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정중부의 수염을 태운 사건  이 사건은 1170년(고려 의종 24년)에 발생한정중부의 수염을 태운 일화로 무신정변의 도화선이 되었습니다.  사건의 배경  고려..
[ 심국시대 ] 김유신(金庾信)은 왜 말목을 잘랐을까? 김유신이 자신의 말 목을 잘랐다는 이야기는 삼국유사에 나오는 일화로신라의 장군이자 정치가였던 김유신의 결단력과 충성심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유명합니다이 일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 신라의 상황과 김유신의 배경을 알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김유신(金庾信)의 배경과 당시 신라의 상황  김유신(595년~673년)은 신라의 장군이자 정치가로삼국 통일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는 신라의 명문가 출신으로, 어린 시절부터 무예와 학문에 능했으며후에 신라의 중요한 군사적, 정치적 인물로 성장했습니다 김유신이 활동하던 시기는 신라가 백제와 고구려와 경쟁하며삼국 통일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던 시기입니다 신라는 백제와 고구려와의 끊임없는 전쟁 속에서 국력을 강화하고,통일의 기반을 다지고자 했습니다     말 목을 자른 ..
[ 초한지 ] 지록위마(指鹿爲馬), 사슴일까(?) 말일까(?) "지록위마"(指鹿爲馬)는 중국 고사성어로, 한자를 그대로 풀이하면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한다" 이 고사는 진나라의 환관 조고와 관련된 이야기에서 유래합니다.    지록위마(指鹿爲馬) 의 유래   八月己亥, 趙高欲爲亂, 恐群臣不聽, 乃先設驗, 持鹿獻於二世, 曰:「馬也.」二世笑曰:「丞相誤邪? 謂鹿爲馬.」問左右, 左右或黙, 或言馬以阿順趙高. 或言鹿(者), 高因陰中諸言鹿者以法. 後群臣皆畏高. 8월 기해일, 조고는 난을 일으키고자 했으나 신하들이 듣지 않을까 걱정이 되어 먼저 시험을 해보려고 사슴 한 마리를 황제(호해)에게 바치면서 “말(馬)입니다”라고 했다. 황제가 웃으며 “승상이 잘못 본 것 아니오? 사슴을 말이라니”라고 했다. 좌우에 물으니 입을 다문 자도 있고, 말이라며 조고에게 아부하는 자도 있었으며,..
[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 총나열 고조선 1. 단군   삼국시대2. 주몽 (추모) - 고구려 3. 온조 - 백제 4. 박혁거세 - 신라 5. 광개토 - 고구려 6. 이사부 - 신라 7. 백결 - 신라 8. 의자왕 - 백제 9. 계백 - 백제 10. 김관창 - 신라    남북극시대11. 김유신 - 신라 12. 문무왕 - 신라 13. 원효 - 신라 14. 혜초 - 신라 15. 장보고 - 신라 16. 대조영 - 발해   고려시대17. 강감찬 18. 서희 19. 정중부 20. 최무선 21~27. 죽림칠현 (오세재, 이담지, 이인로, 임춘, 조통, 함순, 황보항) 28. 김부식 29. 지눌 30. 의천 32. 정몽주 33. 문익점 34. 최충 35. 일연 36. 최영    조선 전기 ( 건국 ~ 임진왜란 )31. 이종무 37. 황희 38. 맹사성..
[ 초한지 ] 해하가(垓下歌) 해하가(垓下歌)​力拔山兮氣蓋世 (역발산혜기개세)時不利兮騅不逝 (시불리혜추불서)騅不逝兮可奈何 (추불서혜가내하)虞兮虞兮奈若何 (우혜우혜내약하) ​해하의 노래 ​​힘은 산을 뽑을 수 있고, 기개는 세상을 덮을 만한데하지만 시운이 불리하니 오추마가 나아가지 않는구나.오추마가 달리지 않으니, 난 어찌해야 하는가우희여 우희여 그대를 어찌해야 하는가?          해하 전투 ( 垓下之戰 )   전투는 한신 vs 항우의 대결로 시작되었다. 한신이 이끄는 부대는 항우의 본대와 맞붙었는데이때의 회전에서는 항우가 한신을 압도하여한신의 군대는 뒤로 물러나기 시작했다 한신의 부대가 뒤로 물러난 만큼 초나라 부대는 깊숙이 들어온 형세가 될 텐데바로 이때에 좌익과 우익에 있던 공취, 진하의 부대가 초군의 양 측면을 후려쳤다  ..
[ 잡담 ] 중국의 4대 미인에 대해 알아보자 중국의 4대 미인은 중국에서 손꼽는 4명의 미인으로서시, 왕소군, 양귀비, 초선 4명의 여인들을 말한다    서시 ( 西施 )    서시(중국어: 西施, 병음: Xī Shī 스스, 생몰년 미상)고대 중국 4대 미녀 중 한 명으로, 본명은 시이광(스이광, 施夷光) 이다.   중국에서는 서자(시쯔, 西子) 라고도 한다. 기원전 5세기(춘추 시대 말기)의 사람이다. 현재의 저장성 사오싱 주지 시 출신이다. 왕소군, 양귀비, 우희와 함께 중국 4대 미녀들 중 1명으로 손꼽히는 인물이다. 또한 이들 중 가장 으뜸으로 알려져 있다 생애 월왕 구천이 오왕 부차와의 전쟁에서 패배하자 월나라 구천의 참모 범려의전략에 따라 패전의 처리에 대한 공물로 오나라 부차의 여인이 된다.   서시가 부차에게 총애를 받자 부차의 후궁..
[ 삼국시대 ] 고대 국가 연맹 가야 제국(加耶 諸國) 가야역사는 정확히 언제부터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는가?   대체로 여러가지 설(說)이 있다.  대체로 널리 알려져있고 사서(史書)에 쓰이는 기록으로는 금관가야는 BC 42년도로 기록 되어있다.  다른 가야들은 상세하게 기록되지 않은점과 있어도 찾기 힘든것이 안타까울 다름이다.  하지만 BC42 ~ AD532년(약584년)동안 10왕을 거쳐 금관가야를 다스리다가  532년 구해왕[양왕]이 법흥왕에게 항복함으로서 병합된다    가야의 종류 성주 : 성산가야 ( 약, 550~60년대 멸망 )고령 : 대가야 ( 후기 가야연맹의 맹주, 562년 멸망 )함안 : 아라가야 ( 559년 멸망 )진주 : 고령가야 ( 524년 멸망 )고성 : 소가야 ( 550~62년 멸망 )김해 : 금관가야 ( 532년 멸망 ) 이중 금관가..
BBC 선정 역대 위대한 전략가 100人 1 Subotai 수보타이 바투 / 몽골 ( 원나라때 유럽까지와서 폴란드와 러시아 정벌 ) 2 Alexander the Great Macedonia 알렉산더 / 마케도니아 3 Temujin (Genghis Khan) 징기스칸 / 몽골4 Napoleon Bonaparte 나폴레옹 / 혁명 프랑스  ( 내 사전에 불가능이란 없다 )5 Timur Turks 티무르 / 투르크  ( 티무르 제국을 설립자 )6 Caius Julius Caesar 율리우스 카이사르 / 로마 ( 주사위는 던져졌다 )    7 Hannibal 한니발 / 카르타고  ( 알프스 산맥을 넘어 로마를 공격한 카르타고 명장 )8 Mahmud of Ghazni 마흐무드 / 아랍 제국  ( 술탄의 칭호를 받은 최초의 왕 )9 Belisarios B..